티스토리 뷰
목차
통상임금 적용 시 월급 얼마나 오를까?
- 통상임금 적용 여부와 월급 상승폭을 알아보세요! 주휴수당, 상여금, 연장근로 포함 여부를 기준으로 계산 방법안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.
< 목 차 > 1. 통상임금이란 무엇인가요? 2. 월급 상승폭은 어떻게 계산할까요? 3. 월급 상승폭 요약 4. 회사에 확인할 사항 5. 결론 |
1. 통상임금이란 무엇인가요?
- "통상임금"은 근로자의 정기적이고 일률적으로 지급되는 임금을 말합니다. 이는 기본급뿐만 아니라 주휴수당, 연장수당, 상여금, 식대 등이 포함될 수 있는 중요한 임금 항목입니다. 근로기준법상 통상임금은 퇴직금, 연장·야간·휴일근로수당을 계산할 때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.
- 특히 2025년부터 통상임금에 포함되는 항목에 대한 법적 기준이 강화되면서, 임금 상승 효과가 기대되고 있습니다.
2. 월급 상승폭은 어떻게 계산할까요?
현재 월급 상승 여부는 통상임금의 재정의와 기준 변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 우선, 사용자가 제공한 정보를 기반으로 계산해보겠습니다.
- 근무 정보:
- 하루 10.5시간 근무 (8시간 + 2.5시간 연장)
- 주 5일 근무로 주 52.5시간
- 월 기본급: 2,267,650원 (주휴수당 포함)
- 상여금: 2개월마다 120만 원
- 식대: 월 10만 원
1) 연장근로수당 계산
연장근로수당은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. 현재 제공된 정보로는 시급이 10,850원입니다. 이를 기준으로 연장근로수당을 계산해보면:
- 주당 연장근로시간: 2.5시간 × 5일 = 12.5시간
- 연장근로수당: (10,850원 × 1.5배) × 12.5시간 = 203,437.5원
- 월 기준 연장수당: 203,437.5원 × 4.3주 = 874,781.25원
2) 상여금 포함 여부
상여금이 통상임금에 포함되면, 월급 상승폭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.
- 상여금 120만 원을 2개월로 나누면 월 60만 원
- 월 상여금 포함 시 통상임금 기준액: 2,267,650원 + 600,000원 = 2,867,650원
3) 최종 월급 계산
새로운 통상임금 기준에 따라 재계산하면:
- 기본급 + 주휴수당: 2,267,650원
- 상여금: 600,000원
- 연장근로수당: 874,781.25원
- 총 월급: 2,267,650 + 600,000 + 874,781.25 = 3,742,431.25원
3. 월급 상승폭 요약
- 2025년 통상임금 기준이 적용될 경우, 현재의 월급에서 약 1,474,781원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. 특히, 상여금과 식대가 포함되었는지 확인하고, 이를 기준으로 연장·야간근로수당을 재계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4. 회사에 확인할 사항
통상임금이 올바르게 적용되고 있는지 확인하려면 다음 사항을 점검하세요:
- 근로계약서 확인: 통상임금 항목이 명시되어 있는지 살펴보세요.
- 상여금 포함 여부: 상여금이 정기적이고 고정적으로 지급된다면 통상임금에 포함됩니다.
- 주휴수당과 연장근로수당: 정확히 계산되고 있는지 임금명세서를 검토하세요.
5. 결론
통상임금이 제대로 적용되지 않을 경우, 월급 상승폭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 위 계산법을 활용해 본인의 월급을 검토하고, 필요한 경우 회사에 이의를 제기하거나 노동청에 문의하세요.
반응형